본문 바로가기
  • 영어머리 공작소
카테고리 없음

Have 동사 편

by 영어머리 공작소 2020. 7. 2.

 

 

Have

 

요즘 조금 바쁜 일이 있어 블로그 게시가 늦었습니다.

그래도 처음 약속과 같이 최소 일주에 1개씩 올리겠습니다.

 

영어에서 가장 중요한 동사 3가지 Be, Do, Have 다시 따라 해보죠.

be, do, have.
... Be, Do, Have.
... BE, DO, HAVE.

잠시 다른 이야기를 하자면, 대문자와 소문자를 언제 써야 하는지 궁금해하십니다. 반드시 대문자를 써야 하는 것은 I (나)를 대문자를 쓰고, 약어들 A.K.A 이런 걸 대문자로 씁니다. 대문자 소문자 구분은 정확히 말씀드리면, 큰소리로 말할 때 대문자이고, 그냥 쓸 때 소문자입니다. 나의 글을 강하게 말하고 싶으며 대문자로 쓰시면 됩니다. 길거리의 거지들이 돈달라는 푯말을 만들 때, 처음부터 끝까지 대문자로 씁니다.

 

Have는 결과입니다.

 

Be(나의 어떠한 상태인 존재가) Do(행동을 하고), 그 결과 Have(가지는 되는) 것입니다.

즉 최종 결과물입니다.

 

힘의 방향은 나에게로 향하게 되어 있습니다. Have를 조동사일 때도 있고 본동사일때도 있다. 영어머리 공작소에서는 이런 것이 없습니다. Have는 Have 입니다. 그리고 시제를 사용할 때, 완료형에 Have를 쓴다고 하는데, 이 역시 고려 대상이 아닙니다. 그렇게 영어를 배우면 평생 말 한마디 못합니다.

 

일단, Have 뜻은

Have : 지금까지 나와 내 눈에 보이는 대상이 가지고 있는 것

Has : 지금까지 내 눈에 보이지 않는 대상이 가지고 있는 것

Had : 과거에 가졌던 것. 현재 가지고 있는지는 알 수 없는 것

to have : 곧 가지려고 하는 것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Be동사 편의 질문에서 1인칭, 3인칭 단수. 이런 질문을 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그렇게 하시면 영어 못합니다. 저만 믿으셔야 됩니다. 어머님. 모든 언어는 생각을 표현하는 산물입니다. 원어민들의 사상과 동조되지 못하면 영어가 되질 않습니다.

'her will' 이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이걸 어떻게 해석하지요? 어떤 느낌이지요? 'She will'은 어떤 느낌인가요?

이상하죠. 이게 이상하면 영어 못하는 겁니다. 영어에 조동사 본동사, 몇 인칭 이런 거 신경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Have는 우리나라 말로 가지다, 먹다, 소유하다.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다 물질적인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이보다 더 넓은 의미가 있습니다. Do(행동)을 하고 난 결과물, 전체가 Have입니다.

 

입으로 사과를 씹으니, 사과를 먹었습니다.

연인과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헤어지니, 아픔이 남았습니다.

열심히 일을 해서, 집을 소유했습니다.

입사 면접을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회사에 입사할 것입니다.

 

Have는 완전히 내 것이 된 것입니다.

일시적이거나 사라질 것이 아닌, 온전히 내 것이 된 것이 have 입니다.

 

I have eaten an apple.

I (나는) have(지금까지 온전히 내 것을 만든다) enaten(방금 먹혀진) an apple(사과 하나)

우리나라 말에 먹어버렸다. 먹어 + 버렸다. 먹다는 스며들어 없어진 상태이고 버렸다.는 행동의 과거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어떤 행동을 했는데 스며들어 없어졌음을 나타냅니다.

 

사과는 결과적으로 스며들어 없어졌습니다. 그 주체는 나. 옆에 있는 객체는 사과인데, 그 사과는 방금 먹혀져 있는 상태입니다. 한국어는 자신의 시선으로 대상을 보지만, 영어는 무대를 바라보는 시선으로 대상을 봅니다.

 

두 개의 사물이 있습니다. 나와 사과. 나는 대상물을 온전한 나의 것으로 만든다. 사과는 영향을 받아 한쪽 귀퉁이가 떨어져 나가있다. 이 상황이 합쳐져서, I have eaten an apple. 이 된다.

 

I have done.

I (나는) have(지금까지 온전히 내 것을 만든다) done(방금 완료된 것).

여기 무대 위에는 대상이 나만 존재한다. 혼자 한 것이다.

나는 지금 방금 완료한 것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하는 일이 완성된 것'은 done이다. have는 내가 가지게 된 것이다. 어떤 말을 할 때 누군가 'Done.' 또는 'Have Done.' 또는 'I have done.' 이렇게 말하면 '니가 말한 것을 이해해서 내 것으로 만들었다.'(그러니 다른 말을 하자.) 이렇게 되는 것이다.

 

I have an apple.

중학교 때, 나는 이 문장을 해석할 수 없었다.

'나는 사과를 먹는다.', '나는 사과를 가지고 있다.' 어떤 말이 맞을까?

 

생각해 보세요.

 

답은 '나는 사과를 먹었다.' 입니다. 처음에 말씀드렸듯이 have는 온전히 나의 것이 된 것입니다. 온전히 되었다는 것은 완전한 소유입니다. 그런데 좀 그런 형들이 와서 사과죠. 하면 뺏기지요. 그래서 온전한 소유가 아닙니다. 그래서 보통 음식물과 음료 등은 먹었을 때, have를 쓰는 것입니다. 주택이나 자동차를 잠시 빌려서 가지고 있다고 have를 하면 안 됩니다. 소유권이 없으니 have를 쓸 수 없습니다.

'온전한 소유' 이것이 have입니다.

 

I have been there.

여기의 have 역시 완전한 소유입니다. 바로 기억입니다. 나는 기억하고 있지롱. been there 그곳에 잠시 머물렀다는 것을.

 

have는 온전히 나의 것이 되는 것입니다. 온전히 나의 것이 된 것은 대부분 기억입니다. 감정들 이런 것들을 표현할 때, '그래, 나 그 느낌 있어' 할 때 튀어나오는 단어가 have 입니다. 물건 역시 소유권이 완전히 나의 것을 가지고 있을 때 have를 사용합니다.

 

영어의 문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9시제 10시제를 이론으로 영어를 배웠습니다. 그런데 영어에 2시제론도 있습니다. 영어는 과거와 현재를 표현하는 방법밖에 없다.는 이론입니다. 무엇이 맞다 틀리다는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어떤 느낌이 있는데, 딱 어떤 단어가 자동으로 떠올라야 합니다.

 

그래, 나 기억나, : have

그건 완전 내꺼지 : have

이제 완전히 알았어 : have

 

 

 

영어머리 공작소

 

안드로이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co.evolcano.donotstudy

 

 

애플

https://apps.apple.com/kr/app/%EC%98%81%EC%96%B4%EB%A8%B8%EB%A6%AC-%EA%B3%B5%EC%9E%91%EC%86%8C/id1507102714

 

댓글